가장 헷갈리는 분리배출 품목 10가지(테이크아웃컵, 아이스팩, 일회용품 등)

분리배출을 매일 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품목들이 있습니다. 특히 테이크아웃컵, 아이스팩, 일회용품 같은 생활 속 쓰레기는 재질이 복합적이어서 잘못 배출하기 쉽습니다.


오늘은 가장 헷갈리는 분리배출 품목 10가지를 정리하고, 올바른 처리 방법까지 알려드립니다.

 

 

 

 

가장 헷갈리는 분리배출 품목 10가지


1️⃣ 테이크아웃컵 (일회용 컵)


- 종이컵: 내부에 코팅이 되어 있어 일반 종이류 ❌ → 종이컵 전용 수거함 배출 - 플라스틱컵: 세척 후 플라스틱류 배출, 빨대·뚜껑은 분리


2️⃣ 아이스팩


- 겔 타입: 내용물을 제거 후 비닐류 배출, 일부 지자체는 전용 수거함 운영 - 물 타입: 물은 하수구에, 외피는 비닐류 배출


3️⃣ 일회용 비닐봉지


- 깨끗하면 비닐류 배출 - 음식물 오염 심하면 ❌ 일반쓰레기


4️⃣ 종이팩 (우유팩·주스팩)


- 일반 종이류 ❌ → 전용 수거함 배출 - 종이팩은 화장지·재생지로 재활용 가능


5️⃣ 배달용 플라스틱 용기


- 음식물 완전히 제거, 세척 후 플라스틱류 - 오염 심하면 ❌ 종량제 봉투 처리


6️⃣ 스티로폼 박스


- 테이프·스티커 제거 후 스티로폼류 배출 - 오염(생선·고기 핏물) 심하면 ❌ 일반쓰레기


7️⃣ 깨진 유리/도자기


- 유리병 ❌ → 깨진 유리·도자기는 일반쓰레기 - 반드시 신문지로 감싸 안전하게 배출


8️⃣ 페트병


- 투명 페트 전용 수거함 이용 - 라벨 제거, 뚜껑 분리, 압착 후 배출


9️⃣ 알루미늄 호일·은박지


- 음식물 제거 후 금속류로 배출 가능 - 오염 심하면 ❌ 일반쓰레기


🔟 폐건전지·형광등


- 일반쓰레기 ❌ → 전용 수거함 이용 - 대형마트·주민센터에서 무상 수거 가능



분리배출 혼동 품목 정리 표


품목 올바른 배출 방법 잘못된 방법
테이크아웃컵 세척 후 플라스틱류 / 종이컵 전용 수거함 일반 종이류, 일반쓰레기
아이스팩 내용물 제거 후 비닐류 그대로 일반쓰레기
종이팩 전용 수거함 (재활용) 일반 종이류
플라스틱 용기 세척 후 플라스틱류 음식물 남은 상태
스티로폼 깨끗이 세척 후 배출 오염된 채로 배출
유리/도자기 깨진 경우 일반쓰레기 유리류에 섞어서 배출
페트병 라벨·뚜껑 제거 후 압착 뚜껑·라벨 붙인 상태
비닐봉지 세척 후 비닐류 음식물 묻은 채 배출
호일/은박지 이물질 제거 후 금속류 오염된 채 배출
폐건전지/형광등 전용 수거함 일반쓰레기


Q&A


Q1. 배달 플라스틱 용기 설거지 귀찮으면 그냥 버려도 되나요?
A. ❌ 안 됩니다. 세척이 안 되면 일반쓰레기로 처리됩니다.


Q2. 투명 페트와 유색 페트는 구분해야 하나요?
A. ✅ 네. 투명 페트는 전용 수거함, 유색은 일반 플라스틱류입니다.


Q3. 종이컵은 종이로 버리면 안 되나요?
A. ❌ 내부 코팅 때문에 종이류 재활용 불가. 전용 수거함에 버리세요.


Q4. 아이스팩은 어디서 수거하나요?
A. 일부 지자체는 아이스팩 전용 수거함을 운영합니다. 없는 경우 내용물 제거 후 비닐류로 배출하세요.


Q5. 깨진 접시는 유리류로 버리면 되나요?
A. ❌ 아니요. 접시·도자기는 일반쓰레기입니다.



정리하며


분리배출은 작은 차이가 전체 재활용률을 크게 좌우합니다. 특히 테이크아웃컵, 아이스팩, 일회용품은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품목이니, 오늘 정리한 10가지를 꼭 기억해두세요.


👇 아래 버튼을 눌러 환경부 공식 분리배출 가이드를 참고하고, 헷갈리는 품목을 확실히 정리해보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