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용 사업계획서에 넣으면 안 되는 문장 5가지

“왜 투자자들은 내 사업계획서에 반응하지 않을까?” 그 이유, ‘넣지 말아야 할 문장’이 들어갔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감성보다 논리, 꿈보다 실행을 봅니다. 지금부터 투자유치용 사업계획서에 절대 넣으면 안 되는 금지 문장 TOP 5를 실제 예시와 함께 소개합니다 🚫

 

 

 

 

투자용 사업계획서 금지 문장 TOP 5


1. “경쟁사가 없습니다.”


💬 예시: “이 시장엔 우리만 존재합니다.”
🚫 투자자는 오히려 경계합니다. 시장이 없다 = 수요가 없을 수 있다는 뜻.
✅ 대안: “기존에는 A와 B가 있었으나, ○○ 방식은 우리가 최초입니다.”


2. “시장 규모는 ○조 원입니다.”


💬 예시: “전 세계 시장 규모는 50조 원입니다.”
🚫 ‘너무 큰 수치’는 신뢰를 깎습니다. 내가 공략할 **실제 타깃 시장(SOM)**을 구체적으로 써야 합니다.
✅ 대안: “초기 타깃은 수도권 30~40대 여성 15만 명 시장입니다.”


3. “홍보는 SNS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예시: “마케팅은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 누구나 아는 방식은 ‘실행력’이 아니라 ‘상투적’일 뿐입니다.
✅ 대안: “유입 → 전환 → 재구매 구조를 설계한 콘텐츠 마케팅 전략을 운영합니다.”


4. “경험은 없지만 열정은 있습니다.”


💬 예시: “창업 경험은 없지만 누구보다 진심입니다.”
🚫 투자자는 ‘열정’이 아니라 ‘실행 가능성’을 봅니다.
✅ 대안: “직장 재직 중 진행한 유사 프로젝트 경험과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사업화합니다.”


5. “투자만 해주시면 바로 대박 납니다.”


💬 예시: “이건 무조건 됩니다. 투자만 해주세요.”
🚫 근거 없는 확신은 오히려 리스크입니다. ‘대박’은 말이 아니라 숫자와 구조로 증명해야 합니다.
✅ 대안: “시제품 테스트에서 전환율 17% 기록 → 투입 자금에 따라 확장 가능성이 검증됐습니다.”


Q&A


Q1. 투자용 사업계획서는 어떤 톤으로 써야 하나요?

→ 감정적 문구보다 **구체적인 수치, 논리, 근거 중심**으로 작성하는 것이 신뢰를 줍니다.


Q2. 제안서랑 다른가요?

→ 네. 제안서는 ‘클라이언트 맞춤형’, 사업계획서는 ‘내 사업의 전체 구조를 증명’하는 문서입니다.


Q3. 어떤 구조로 써야 하나요?

→ 문제 인식 → 솔루션 → 시장 규모 → 제품/서비스 → 수익모델 → 실행전략 → 팀 → 재무 → 투자 제안 순이 일반적입니다.



마무리: 투자자는 ‘논리적 믿음’을 원합니다


사업계획서에 불필요한 감성 문구를 넣는 건 멋있어 보일 순 있어도 투자 유치엔 독이 될 수 있어요. ‘왜 되는가’를 데이터와 구조로 증명하는 것, 그게 투자유치의 핵심입니다. 오늘 소개한 금지 문장 5가지를 피하고, 현실적이고 신뢰감 있는 계획서로 준비해보세요 💼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