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 후 개인 콘텐츠 기반 창업에 최적화

“회사만 나오면 창업이 쉬울 줄 알았는데…” 막상 퇴사 후 창업을 준비하다 보면, 자금, 방향, 지속성이 가장 큰 고민입니다. 지금까지의 경력과 경험을 기반으로 ‘혼자서도 오래갈 수 있는 창업’을 하려면 첫 단추인 사업계획서가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퇴사 후 창업자에 맞춘 실제 예시를 소개합니다 ✍️

 

 

 

 

퇴사 후 창업자용 사업계획서 예시


1. 창업 개요


∙ 사업명: 커리어리셋 콘텐츠랩 ∙ 창업자 유형: 퇴직자 / 전직 마케팅팀 과장 (10년 경력) ∙ 업종: 경력 전환 컨설팅 + 커리어 콘텐츠 제작 ∙ 형태: 무점포 / 온라인 1인 창업


2. 창업 동기


퇴사 이후 막막한 전직 준비 과정에서 동료·지인들의 질문과 상담 요청을 받으며, ‘퇴사 후 커리어 설계’ 콘텐츠가 필요하다고 느껴 창업 결심.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솔루션 제공이 가능함.


3. 시장 분석


∙ 대한민국 퇴직자 연간 약 40만 명 이상 ∙ 30~50대 커리어 전환, 프리랜서 이직자 증가 ∙ 퇴직 이후 재설계에 대한 정보 부족 → 수요 존재 ∙ 탈잉·퍼블리 등 개인 콘텐츠 시장 지속 확대


4. 제품 및 서비스


  • ∙ 전자책: 퇴사 후 6개월 생존 매뉴얼 (PDF)
  • ∙ 온라인 강의: 커리어 전환을 위한 브랜딩 전략
  • ∙ 코칭 상품: 1:1 퇴사 후 플랜 점검 컨설팅

5. 수익 모델


  • ∙ 전자책 판매: 1권당 14,800원
  • ∙ 온라인 클래스: 59,000원/1인 기준
  • ∙ 코칭 패키지: 1회 100,000원 / 월 10건 예상

6. 마케팅 전략


  • 📌 블로그: 퇴사 준비, 경력 전환 관련 콘텐츠 중심
  • 📌 인스타그램: 퇴사일기, 1인 창업 브이로그 기반
  • 📌 전환 유도: 뉴스레터/무료 워크북/전자책 맛보기 배포

7. 운영 계획


∙ 1인 운영 (재택) ∙ 주간 콘텐츠 제작 → SNS 배포 → DM 상담 → 제품 전환 ∙ Canva, ChatGPT, Notion, Google Form 활용


8. 재무 계획


항목 금액(원) 비고
콘텐츠 제작 장비 1,000,000 노트북, 카메라, 마이크
툴/구독비 400,000 Canva, Notion, 멤버십 구독 등
광고 마케팅 600,000 키워드 광고 + 인스타 홍보
총합 2,000,000

9. 성장 로드맵


∙ 3개월: 전자책/강의 기초 수익화 ∙ 6개월: 누적 판매 1,000건 달성 ∙ 12개월: 디지털 커뮤니티 운영 및 오프라인 강의 확대



Q&A


Q1. 퇴사 직후 창업하면 바로 정부 지원받을 수 있나요?

→ 예. 예비창업패키지, 중장년 창업지원사업 등은 퇴사 후 1인 사업 형태로 바로 지원 가능합니다.


Q2. 회사 경력과 전혀 다른 업종이어도 되나요?

→ 가능합니다. 다만 기존 경력과의 연계성이 일부라도 있다면 실행 가능성, 시장 신뢰도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Q3. 사업계획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 ‘왜 이 창업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설득력 있는 동기와 실행 계획**이 핵심입니다.



마무리: 퇴사는 끝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회사 생활이 끝난 게 아니라, 이제부터 당신의 이름으로 된 브랜드를 시작할 시간입니다. 지금까지의 경력이 누군가에게는 정보이자 서비스가 될 수 있어요. 그 출발점이 바로 이 사업계획서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