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세는 언제까지 내야 할까? 늦게 내면 가산세는 얼마나 붙을까?”
매년 정해진 기간에 부과되는 재산세는 가장 대표적인 지방세 중 하나입니다.
기한을 놓치면 가산세가 붙고 장기 체납 시 압류까지 이어질 수 있죠.
오늘은 재산세 납부기한과 가산세율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재산세 납부 기한
- 🏠 주택분: 7월(1/2) + 9월(1/2) 분할 부과
- 🏢 건축물분: 7월
- 🗓️ 토지분: 9월
- 📌 납부 기한: 매년 16일 ~ 말일 (예: 7월 16일~31일, 9월 16일~30일)
※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다음날부터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재산세 가산세율
재산세를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금과 중가산금이 붙습니다.
- 📌 가산금: 미납 세액의 3% (납부기한 경과 직후)
- 📌 중가산금: 매월 0.75%씩 최대 60개월 부과
재산세 가산금 예시
연체 기간 | 가산금(3%) | 중가산금(매월 0.75%) | 총 부담률 |
---|---|---|---|
1개월 | 3% | 0.75% | 3.75% |
6개월 | 3% | 4.5% | 7.5% |
12개월 | 3% | 9% | 12% |
60개월 | 3% | 45% | 48% |
재산세 납부 방법
- 위택스(Wetax) 접속 → 온라인 납부
- 스마트 위택스 앱 → 모바일 납부
- 은행 창구 및 ATM → 전자납부번호 입력 후 납부
- ARS 전화 납부 (지자체별 안내 번호 확인)
Q&A
Q1. 재산세를 연체하면 바로 압류되나요?
아니요. 먼저 가산금이 붙고, 일정 기간 체납이 지속되면 압류 절차가 진행됩니다.
Q2. 가산금은 줄일 수 없나요?
법정 가산금이므로 줄일 수 없으며, 기한 내 납부만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Q3. 분납할 수 있나요?
일부 지자체에서 분납 제도를 운영하지만, 사전 신청이 필요합니다.
Q4. 고지서를 잃어버리면 어떻게 하나요?
위택스나 스마트 위택스 앱에서 재발급 및 바로 납부가 가능합니다.
결론
재산세 납부 기한은 매년 7월과 9월, 기한은 16일부터 말일까지입니다. 놓치면 3% 가산금 + 매월 0.75% 중가산금이 붙어 부담이 커지니, 위택스 자동 알림이나 은행 자동이체를 설정해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재산세는 기한 내 납부가 최고의 절세 방법입니다.
여러분은 올해 재산세, 기한 내 납부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