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후 받을수 있는 지원금 혜택알아보기

퇴직 후 소득이 끊기면 생활비와 재취업 준비 비용이 부담됩니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지원금을 활용하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퇴직 후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지원금의 혜택을 총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실업급여(구직급여)


가장 기본적인 퇴직 후 지원금으로, 재취업 전까지 생계 안정을 돕습니다.


  • 혜택: 평균임금의 60% 지급
  • 지급 기간: 120일~270일
  • 추가 혜택: 직업훈련 참여 시 훈련수당 지급

2. 국민취업지원제도(구직촉진수당)


저소득 구직자 또는 장기 실업자가 안정적으로 구직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매월 현금 지원합니다.


  • 혜택: 월 50만 원 × 6개월
  • 부가 혜택: 전담 상담사 배정, 맞춤형 취업 알선

3. 재취업성공수당


조기 취업에 성공한 경우, 남은 실업급여 일부를 현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혜택: 남은 실업급여의 50% 현금 지급
  • 추가 혜택: 12개월 근속 시 2차 지급

4. 중장년 재도약 장려금(지자체)


중장년층이 재취업 또는 창업에 도전할 때 활동비를 지원합니다.


  • 혜택: 월 30만~50만 원 × 최대 6개월
  • 추가 혜택: 창업 멘토링, 직업훈련비 지원

5. 장기근속자 퇴직 장려금


장기근속자의 퇴직을 장려하고 공로를 인정하기 위한 기업 또는 기관의 보상 제도입니다.


  • 혜택: 3~12개월치 임금 지급
  • 추가 혜택: 전직 지원 서비스, 건강검진 쿠폰

📊 퇴직 후 지원금 혜택 비교표


지원금 현금 지원 추가 혜택
실업급여 평균임금의 60% 훈련수당
구직촉진수당 월 50만 원 × 6개월 취업 알선, 상담
재취업성공수당 남은 실업급여의 50% 2차 지급
재도약 장려금 월 30만~50만 원 창업·훈련 지원
퇴직 장려금 3~12개월치 임금 전직 지원, 복지혜택

결론


퇴직 후에는 단순히 한 가지 지원금이 아니라, 상황에 맞게 여러 제도를 순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업급여, 구직촉진수당, 재취업성공수당 등은 서로 연계해 받을 수 있어 최대 수천만 원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Q&A


Q1. 지원금을 모두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아니요. 일부는 순차적으로만 받을 수 있습니다.


Q2. 추가 혜택은 자동 제공되나요?
조건 충족 시 자동 제공되지만, 일부는 별도 신청이 필요합니다.


Q3. 지자체 장려금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4. 퇴직 장려금은 세금이 부과되나요?
퇴직소득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Q5. 실업급여와 구직촉진수당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실업급여는 근로 이력이 있는 비자발적 퇴직자 대상, 구직촉진수당은 저소득층 구직자 대상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