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세 부과기준 - 재산세조회.납부바로가기

재산세 부과기준은 지방세법에 따라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며, 과세 대상, 과세표준, 세율, 부과 시기 등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아래 표와 설명을 참고해 재산세 부과 구조를 이해하세요.

 

 

 

 

재산세 부과 기준


구분 내용
과세 대상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 등
매년 6월 1일 현재 소유자에게 부과
과세 기준일 6월 1일 기준 소유자가 납세의무자
기준일 이후 소유권 변동 시에도 해당 연도 납부
과세표준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 주택 : 공시가격 × 60%
- 토지·건축물 : 공시가격 × 70%
세율 주택 : 0.1% ~ 0.4% (구간별 누진세율)
건축물 : 0.25%
토지 : 0.2% ~ 0.5% (종합합산·별도합산 구분)
선박·항공기 : 0.3%
부과·납부 시기 7월 : 주택 1기분, 건축물, 선박·항공기
9월 : 주택 2기분, 토지
감면·비과세 국가·지자체 소유, 종교용·공익목적 시설 등 비과세
다자녀, 저소득층, 농어촌주택 등 일부 감면 가능


유의사항


- 재산세 과세표준과 세율은 매년 정부 정책과 지자체 조례에 따라 변동 가능
-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정부 고시에 따라 조정 가능
- 감면 대상 여부는 해당 지자체 세무과에서 반드시 확인



Q&A


Q1. 재산세 기준일 전에 집을 팔면 누가 내나요?
A1. 6월 1일 이전 매도 시 매수자가, 이후 매도 시 매도자가 해당 연도 재산세 납부 의무를 집니다.


Q2. 공시가격이 오르면 재산세도 무조건 오르나요?
A2. 공시가격 상승 시 과세표준이 높아져 세액이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세부담 상한제 적용 가능.


Q3. 주택과 토지를 동시에 소유하면 재산세가 따로 부과되나요?
A3. 네, 주택·토지·건축물 각각 별도로 과세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