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재산세는 전국 재산세 기본 구조와 동일하지만, 서울시 조례에 따른 감면 혜택과 다양한 납부 편의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아래 표에서 2025년 서울 재산세 납부 일정을 확인하세요.
2025년 서울 재산세 납부 일정
| 과세 대상 | 납부월 | 납부 기간 | 비고 |
|---|---|---|---|
| 주택분 1기분 | 7월 | 7월 16일 ~ 7월 31일 | 연세액의 절반 부과 |
| 주택분 2기분 | 9월 | 9월 16일 ~ 9월 30일 | 나머지 절반 부과 |
| 건축물분 | 7월 | 7월 16일 ~ 7월 31일 | 주택분 1기분과 동일 |
| 토지분 | 9월 | 9월 16일 ~ 9월 30일 | 주택분 2기분과 동일 |
| 선박·항공기 | 7월 | 7월 16일 ~ 7월 31일 | 연 1회 부과 |
서울시 재산세 특징
- 전자고지·자동이체 신청 시 세액공제 500원 제공
- 위택스, 서울시 ETAX, 은행, ARS, 편의점 등 다양한 납부 채널
- 납부 안내 알림톡·문자 서비스 제공
- 다주택자·상가 소유자는 종합부동산세 합산과세 여부 확인 필요
Q&A
Q1. 서울시 재산세를 인터넷으로 납부하려면?
A1. 서울시 ETAX 또는 위택스를 이용해 카드·계좌이체 납부가 가능합니다.
Q2. 자동이체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A2. ETAX, 위택스 또는 구청 세무과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Q3. 체납 시 불이익은 무엇인가요?
A3. 가산금(세액의 3%)이 부과되며, 장기 체납 시 재산 압류가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