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매 제한 피하는 청약 전략 3가지

“청약 당첨은 좋지만, 전매가 안 되면 현금화는 어려워집니다.”
2025년에도 전매제한 단지는 여전히 많습니다.
하지만 전략을 알면, 전매 가능한 단지로 청약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전매제한을 피할 수 있는 청약 전략 3가지를 소개합니다.

 

 

 

 

1️⃣ 비규제 지역 청약 노리기


2025년 현재 수도권 중 일부 지역은 여전히 비규제 지역입니다.
비규제 지역 청약 시, 전매 제한이 6개월~즉시 가능한 단지가 많아
분양권 프리미엄 거래가 가능합니다.


  • 📍 예시: 파주 문산, 김포 고촌, 양주 옥정, 인천 계양 일부 등
  • 📌 비규제지역 민간분양 → 계약 후 6개월 뒤 전매 가능
  • ⛔ 공공분양은 규제지역과 동일하게 전매제한 있음

2️⃣ 민간분양 단지 위주 전략


공공분양 단지는 대부분 실거주 의무 + 전매제한이 걸리므로,
민간분양 위주로 청약 전략을 세우는 것이 유리합니다.


  • 🏙️ 민간분양 → 전용 85㎡ 초과 + 비규제지역이면 자유 전매
  • 📄 공공택지라도 민간시행이면 전매 제한 짧을 수 있음
  • 🕵️ 입주자모집공고에서 '전매제한기간' 반드시 확인

3️⃣ 사전청약 대신 본청약 노리기


사전청약은 대부분 공공분양이라
실거주 의무 3년 + 전매제한 최소 3년 이상이 기본입니다.
하지만 본청약 민간분양 단지는 전매 가능성이 열려 있으므로 실거주 목적이 아니거나 투자성 접근 시 본청약이 유리합니다.


  • ⏳ 사전청약 = 전매불가 + 실거주 강제 → 실수요자만 유리
  • 📈 본청약 = 시장상황에 따라 유동적 → 전매 가능성↑

Q&A


Q1. 민간분양이면 무조건 전매 가능한가요?
A. 아니요. 위치(규제/비규제) + 전용면적 + 시행 주체에 따라 다르며, 계약 전 입주자모집공고 내 전매제한 기간을 확인해야 합니다.


Q2. 전매 제한 단지는 프리미엄 거래도 불법인가요?
A. 네. 전매제한 기간 내 거래, 다운계약, 양도각서 등은 모두 불법이며 적발 시 취소 및 과태료 처분이 있습니다.


Q3. 전매제한 단지라도 예외가 있나요?
A. 특정 조건(예: 이혼, 상속, 근무지 변경 등)에 따라 지자체 승인을 통해 예외 전매가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 요약: 전매 가능한 단지를 전략적으로 고르자

무조건 당첨보다 현금화 가능한 청약 전략이 중요합니다.
비규제 지역, 민간분양, 본청약 위주로 2025년 청약 성공 전략을 세워보세요.

 

 

다음 이전